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難經 69難 經言虛者補之오 實者瀉之며 不實不虛는 以經取之라하니 何謂也오?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難經 69難 經言虛者補之오 實者瀉之며 不實不虛는 以經取之라하니 何謂也오?"— Presentation transcript:

1 難經 69難 經言虛者補之오 實者瀉之며 不實不虛는 以經取之라하니 何謂也오? 然하다. 虛者는 補其母하고 實者는 瀉其子하며 當先補之然後에 瀉之라. 不實不虛以經取之者는 是正經自病으로 不中他邪也니 當自取其經라 故로 言以經取之라.

2 難經 75難 經言東方實하고 西方虛하면 瀉南方하고 補北方이라하니 何謂也오? 然하다. 金木水火土ㅣ 當更相平하니 東方木也오 西方金也라 木欲實하면 金當平之하고 火欲實하면 水當平之하고 土欲實하면 木當平之하고 金欲實하면 火當平之하고 水欲實하면 土當平之라. 東方肝也니 則知肝實하고 西方肺也니 則知肺虛라 瀉南方火하고 補北方水하니, 南方火는 火者木之子也며 北方水는 水者木之母也라 水勝火하야 子能令母實하며 母能令子虛하니 故로 瀉火補水하야 欲令金不得平木也라. 經曰不能治其虛면 何問其餘리오하니 此之謂也라.

3 五 兪 穴 表 五 兪 十二經 井 滎 兪 經 合 原 絡 郄 募 陰經 陽經 木 金 火 水 土 手太陰肺經 Ⅰ 少商 魚際 太淵 經渠
尺澤 列缺 孔最 中府 手陽明大腸經 商陽 二間 三間 陽谿 曲池 合谷 偏歷 溫溜 天樞 足陽明胃經 厲兌 內庭 陷谷 解谿 足三里 衝陽 豊隆 梁丘 中脘 足太陰脾經 隱白 大都 太白 商丘 陰陵泉 公孫 地機 章門 手少陰心經 少衝 少府 神門 靈道 少海 通里 陰郄 巨闕 手太陽小腸經 少澤 前谷 後谿 陽谷 小海 腕骨 支正 養老 關元 足太陽膀胱經 至陰 足通谷 束骨 崑崙 委中 京骨 飛陽 金門 中極 足少陰腎經 湧泉 然谷 太谿 復溜 陰谷 大鍾 水泉 京門 手厥陰心包經 中衝 勞宮 大陵 間使 曲澤 內關 郄門 膻中 手少陽三焦經 關衝 液門 中渚 支溝 天井 陽池 外關 會宗 陰交 足少陽膽經 足竅陰 俠谿 足臨泣 陽輔 陽陵泉 坵墟 光明 外丘 日月 足厥陰肝經 大敦 行間 太衝 中封 曲泉 蠡溝 中都 期門

4 舍巖鍼法(Sa-am acupuncture)
朝鮮時代(Chosun dynasty) 17-18c 舍巖(Sa-am) 道人 또는 Buddhist 難經 “虛則補其母, 實則瀉其子” 迎隨補瀉 金烏先生(김홍경) – 1980대 재정립 Ex) 肝勝格 <自經> 肝經: 實則瀉其子 -> 木之子 火也 肝經之火 行間也 故瀉行間 金克木 肝經之金 中封 補 <他經> 火經之火 少府 瀉 金經之金 經渠 補

5 舍巖 五臟虛實 補瀉表 正格 正 形 變 形 勝格 補 穴 瀉 穴 肝虛 補 水 瀉 金 補 火 肝實 補 金 瀉 火 瀉 水 陰谷․曲泉
經渠․中封 少府․行間補 少府․行間 陰谷․曲泉瀉 心虛 補 木 補 土 心實 瀉 土 瀉 木 大敦․少衝 陰谷․少海 太白․神門補 太白․神門 大敦․少衝瀉 脾虛 脾實 少府․大都 大敦․隱白 商丘․經渠補 商丘․經渠 少府․大都瀉 肺虛 肺實 太白․太淵 少府․魚際 陰谷․尺澤補 陰谷․尺澤 太白․太淵瀉 腎虛 腎實 經渠․復溜 太白․太谿 大敦․湧泉補 大敦․湧泉 經渠․復溜瀉 心包 虛 心包實 大敦․中衝 陰谷․曲澤 太白․大陵補 太白․大陵 大敦․中衝瀉

6 火熱門 內經曰, 瞀瘛, 暴瘖, 狂越, 罵詈, 驚駭之君火, 冒昧, 躁擾, 胕腫疼痠, 氣逆之相火, 相衝, 禁慄如喪神守, 嚔嘔, 瘡瘍之隱熱, 耳聾, 耳鳴, 嘔, 目昧, 暴注之發熱. 是故丹溪曰, 老陽動而生天火, 少陰靜而生人火, 熱極而爲地火, 以此激旺水而制離, 引枯木而平熱. 君火 丹田迎 陰谷 少海補 大敦 少衝瀉 相火 中脘正 大都 陰谷補 支溝 崑崙瀉 壯熱 中脘正 臨泣 後谿補 三里 衝陽瀉

7 舍巖道人鍼灸要訣 舍巖序 蓋聞컨데 天開地闢하야 肇分山川之氣하야 人始物資하야 克配動靜之形하니 東西日月과 南北星辰에 兩儀妙運於龍畵하며 五行幷行於龜銘하야 四象得路하고 八卦從令이라하니, 氣雖懸於白日이나 理必隱於玄冥하니 由賢士之宜講이라 豈愚夫之敢醒이리오. 夫氣賦於人者ㅣ 有百骸九竅며 形著於病者ㅣ 有千邪萬靈이니 筋骨脈絡이 變化無盡하야 生旺休囚하야 運行不停이라. 是故로 古人이 卜補瀉之理하야 有其義而無其辭어늘 後哲ㅣ 著溫凉之書하야 傳於渭而行於涇하니, 黃岐試藥石之問答하고 華扁垂鍼灸之典刑하야 立君臣而佐使하야 能治火熱하고 激補瀉而溫凉하야 可救寒冷하니라.

8 體作三才之棟樑이오 穴爲五行之門庭이라 市一身之虛實하야 審七情之浮沈이니 醫者는 意也라 於心必應이오 病者는 虛也라 惟手是聆이라
體作三才之棟樑이오 穴爲五行之門庭이라 市一身之虛實하야 審七情之浮沈이니 醫者는 意也라 於心必應이오 病者는 虛也라 惟手是聆이라. 寒凉相升은 由肺腎之黑白이오 風火互動은 自肝心之紅靑이며 濕長流於脾原하고 熱恒煽於胃局하며 膽必生者小腸이오 脾可産者肺經이며 三焦散居하고 膀胱咸囹하며 引氣歸於任督하야 二氣回合五行하니, 木母補於火子면 心病自痊이오 土官瀉於水臣이면 腎亡回惺이고 抑西官之金氣면 肝膽安穩이오 洗東將之木賊이면 脾胃遐齡이라. 肝位東方하야 腎受生而肺受克하고 心居南鄕하야 北受克而東受生하니 相生者ㅣ 可補오 相克者ㅣ 必瀉며 虛者ㅣ 可補오 實者ㅣ 可瀉니 信醫之病은 可見이오 好鬼之言은 寞聽하라.

9 《臟診要編》은 조선후기 松又溪가 저술한 침구전문서로서 현재 한국에서는 남아있지 않으며, 일본으로 사본이 전해져서 연구되다가 1988년에 일본어로 번역 출간됨.
사본은 일본의 柳谷素靈(やなぎやそれい, )이 소장하고 연구해 오다가 1940년(昭和15년)에 정리하여 皇漢醫書寫傳會를 통하여 원본을 출간함. 현재 千葉大學圖書館에 《朝鮮家傳・臟診要編》의 제목으로 소장되어 있음. ※ 柳谷素靈는 1927년 현 東洋鍼灸專門學校의 전신인 素靈鍼灸塾을 창립하고, 1931년 東京鍼灸醫學硏究所, 1934년 日本韓方醫學會를 결성함. 1950년대까지 대표적으로 일본 鍼灸계의 임상, 학술 관련 활동을 주도하였음.

10

11 柳谷素靈(やなぎやそれい, 1906-1959)이 1957년에 初譯하였으나 출판하지 못하고 이듬해 52세로 사망함
柳谷素靈(やなぎやそれい, )이 1957년에 初譯하였으나 출판하지 못하고 이듬해 52세로 사망함. 후인인 池田政一(いけだまさいち)이 1988년에 다시 번역 출간함. 池田政一. 臟診要編 : 朝鮮の鍼法. 醫道の日本社. 1988년(昭和63년)

12 松又溪는 생몰 이상의 江陽(경남 합천) 사람으로 그의 서문은 1894년(고종 31년)에 작성이 되었다.
序文 凡人之生也에 皆具五行之精而每於風寒暑濕에 從其不足處하야 生病者也니 當其治病인댄 先看人之氣質하고 次察病之輕重이 此是大槪也라 雖看其氣察其病治之라도 當穴投之當葉에 反有其害하니 何者오 不知天稟之不足하고 但量病勢之沈重이니 且看爲人之輕重軟弱하고 不度病症之痼疾하고 以輕治重하고 以重治輕하야 三焦經絡이 不能均平而然矣라 豈不誤哉아 予則識見이 淺短하고 所學이 不長이나 然이나 幾年以來與耳聞目見이 多有多驗之確定故로 略具一二하야 以備要覽而近來世俗이 但稱服하고 未識鍼法中補瀉濕冷之玄妙하니 良可歎也라 觀其人之動靜하고 審其病之本源하야 補中有瀉하고 溫中有冷이니 適中於稟賦하고 順氣於病勢면 如衡하야 不得偏倚則病無不差矣라 此編이 雖不繁多나 皆是先輩에 秘傳之妙法이니 後之學者가 不可尋常工夫하야 畢無歎后之通할진저 上之三十一年甲午春에 後學江陽后人에 松溪는 謹識하노라

13 책의 구성은 臟診要編序, 臟腑總論, 臟腑總論凡例, 臟診要編(各論), 經穴, 別法의 순으로 되어 있다.
臟診要編序 : 2페이지 분량의 서문 臟腑總論 : 《醫學入門》의 「臟腑總論」을 인용한 것으로 오장육부의 변증법 원칙을 제시함 臟腑總論凡例 : 자침 수기법을 제시함 臟診要編(各論) : 세부 병증에 대한 치료법을 제시한 각론 經穴 : 八脈交會穴에 대한 설명과 적응증을 제시 別法 : 추가 세부 병증에 대한 치료법 제시

14 臟腑總論凡例에서는 총 11개의 침수기법을 설명하고 있는데, 立鍼之法, 銅鍼之法, 補法, 瀉法, 補中有冷과 瀉中有溫, 拈穴法, 入分數之法, 呼吸法, 寸法, 投鍼, 治病之法 등이다.
각론은 臟腑中風(附救急)부터 腹瘧까지 145항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지막 부분에 別法으로 滯瘧부터 小便不利까지 추가로 18항목이 기재되어 있다. 각론의 목차는 《濟衆新編》(康命吉, 1799)의 것과 유사하므로 《東醫寶鑑》의 계열을 따르고 있다.

15 《臟診要編》 의 經穴 運用法 특징 기본적으로 公孫穴, 內關穴, 臨泣穴, 外關穴, 後溪穴, 申脈穴, 列缺穴, 照海穴 등의 八脈交會穴을 다용하고 있으며 이는 「經穴」에도 소개되어 있다. 八脈交會穴을 기본방으로 하여 기타 經穴을 가감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八脈交會穴의 일반적인 사용법인, 公孫穴(父-衝脈)과 內關穴(母-陰維脈), 臨泣穴(男-帶脈)과 外關穴(女-陽維脈), 後溪穴(夫-督脈)과 申脈穴(妻-陽維脈), 列缺穴(主-任脈)과 照海穴(客-陰蹻脈)의 配合을 따르지 않고 병증과 변증 방향에 따라 자유롭게 운용하고 있다.

16 八脈交會穴 외에 사용된 經穴 「臟診要編(各論)」의 경우 - 角孫, 間使, 肩髃, 肩井, 曲池, 大都, 大椎, 百會, 別穴, 三陰交, 膝眼, 腎兪, 涌泉, 委中, 乳根, 耳門, 長强, 章門, 絶骨, 足三里, 衝陽, 太衝, 風市, 風池, 合谷, 頰車, 環跳 「別法」의 경우 - 中脘, 天根, 行間, 人堂, 人中, 承漿, 大敦, 中封

17

18 多用하는 經穴마다 補瀉와 刺鍼 깊이가 정해져 있다.
※ 붉은 색은 八脈交會穴, 파란색은 瀉法임. 깊이와 補瀉法에 일부 예외도 존재함. 八脈交會穴을 사용하고는 있으나 기존의 配合을 거의 따르지 않고 있으며, 經穴의 刺鍼 깊이와 補瀉 관련 呼吸法은 王冰의 《素問》에 대한 注釋에서 처음 제시한 것과 다르다. 穴名 合谷 太衝 內關 公孫 申脈 臨泣 後溪 外關 三陰交 列缺 照海 曲池 足三里 깊이 3分 4分 1分 補瀉 補七呼 補九呼 瀉五呼 補五呼 瀉七呼 補三呼

19 각 病症별 치료 실례 食傷 和胃健脾能進飮食, 蓋內傷證, 脾胃中有宿食故, 不嗜食也. 外關 治三分 補三呼, 三陰交 治三分 補五呼 甚則 三里 一寸 二十呼 又治中脘 咳嗽 咳無痰有聲, 肺氣傷, 嗽無聲有痰, 脾濕動. 咳嗽者有聲有痰也. 風肺脈浮, 鼻塞, 聲重, 寒熱, 自汗, 惡風, 口乾, 喉痒, 語未竟而咳. 寒傷肺脈緊, 寒熱, 無汗, 惡寒, 煩燥, 不渴, 胸緊聲啞, 遇寒而咳. 風寒寒鬱熱夜咳, 諸咳皆肺傷脾虛也. 諸喘亦同. 內關 治三分 瀉五呼 虛咳則暫瀉, 公孫 治三分 補五呼 又治列缺 治一分 瀉五呼, 臨泣 治三分 補五呼

20 白裕相 baikys@khu.ac.kr 慶熙大學校 韓醫科大学 原典学教室
Thank you 白裕相 慶熙大學校 韓醫科大学 原典学教室


Download ppt "難經 69難 經言虛者補之오 實者瀉之며 不實不虛는 以經取之라하니 何謂也오?"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